청소년 유혹하는 베이핑 리뷰와 바이럴 광고 문구, 귀여운 디자인
해외의 십대 '베이핑 기기로 불법 약물·마약 흡입' 이용
덜 해롭고 금연 보조 역할의 베이핑, 청소년 유입에 대한 대책 필요

포털에 '베이핑'을 검색하면 '상큼한 사과맛 액상'이나 '달달한 과일 멘솔'등의 게시글들이 눈에 띈다. 성인인증이 필요한 쇼핑섹션과 달리 베이핑 액상 후기와 바이럴 광고는 넘쳐난다. 알록달록한 색상과 디자인은 유해성과 거리가 멀어 보인다. 일반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에 찍힌 섬뜩한 경고와 사진도 없다. 마치 달콤한 간식 같은... 베이핑, 이대로 괜찮을까?

ㅇㅇㅇ
액상 전자담배 / 사진 출처 - 프리픽

베이프 또는 베이핑(vaping)이라고 불리는 액상형 전자담배는 니코틴, 향료 및 기타 화학 물질이 혼합된 용액을 가열해 흡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초반에는 금연 보조기구로 여겨지거나 일반담배보다 덜 해롭다는 믿음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사용자가 급증한 데에는 냄새와 연기가 강하지 않고 친근한 향기 등으로 접근이 쉬웠다는 분석이 있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의하면 베이핑 액상에는 니코틴과 함께 심각한 폐질환을 유발하는 디아세틸(향료),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물질, 니켈·주석·납과 같은 중금속이 포함될 수 있다. 비공식 경로로 유통되는 액상 카트리지는 어떤 성분이 들어 있는지 확인이 어려워 주의가 필요하다.

베이핑의 접근 수월성은 10대들에게 매우 유혹적으로 작용했다. 2020년 CDC는 미국 고등학생의 19.6%, 중학생의 4.7%가 베이핑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10대들의 호기심과 중독은 베이핑의 니코틴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액체를 가열하여 흡입하는 방식의 전자 기기는 청소년에게 향정신성 마약 사용 또한 용이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미국 국립 약물 남용 연구소에 보고된 바로는 10대들이 불법 약물을 물에 타서 베이핑 장치를 이용하여 흡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불법 약물에는 LSD, GHB, 케타민 등이 포함되었다.

국내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마약, LSD(Lisergic acid diethylamide)는 효과가 코카인의 100배, 필로폰의 300배에 달한다. 투약 시 환각과 환청, 불안, 공포, 판단 장애, 현실 감각 상실 등이 나타날 수 있고, 1~2년이 지나도 현상이 나타나는 '환각제 지속성 지각장애'가 올 수 있어 그 심각성이 크다.

무색·무취로 식별이 어려워 '데이트 강간약물'로 알려진 GHB는 물이나 음료에 타서 마신다는 이유로 '물뽕'으로 통한다. 복용 후 10-15분 내에 효과가 나타나며 몇 방울로도 3-4시간 동안 기분이 좋아지고 몸이 이완된다고 한다. GHB는 단기 기억상실을 유발하고 체내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검출이 어려워 성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많다.

케타민은 분만이나 수술 등에 쓰이는 해리성 마취제다. 미다졸람, 프로포폴과 함께 3대 수면마취제로 통하며 강력한 진통효과와 환각작용이 있어 불법 사용도 늘고 있다. 중추신경계에 진정작용을 하여 잠이 오거나 몽롱한 상태로 30-60분의 지속시간을 갖는다. GHB와 함께 성범죄에 자주 등장한다.

미국에서는 2020년부터 여러 주에서 멘톨 이외의 가향 베이핑 판매가 금지됐다. 청소년에게 어필한다는 이유다. 호주가 2021년부터 니코틴 베이핑을 금지하면서 금연 목적의 처방 구매는 허용한 것도 젊은 세대에게 베이핑이 확산되는 것을 막으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2009년 이후 출생자에게 평생 금연을 강제한 뉴질랜드도 젊은이들이 즐겨 찾는 1회용 베이핑 판매를 금지했다.

우리 보건복지부는 2019년 청소년 흡연을 유발하는 가향물질 첨가의 단계적 금지를 발표한 바 있지만, 일반담배의 발암물질성분(최소 70종) 표시 의무도 15년째 끌고 있어 가향물질 규제가 언제 이뤄질지 미지수다. 국내 청소년 액상담배 흡연율은 남학생 3.7%, 여학생 2.2%로 전년 대비 각각 0.8%, 0.3% 상승했다. (질병관리청 ‘2022년 학생 건강검사 및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공식적인 유통과정으로 구매한 베이핑은 일반담배보다 덜 해로울 수 있고 금연 보조기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품과 포장, 마케팅에서 청소년의 유입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포인트경제 박찬서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