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전기 분해 시스템 적용시 1,500 시간 이상 작동… Nano Energy 논문 게재
UNIST 김건태·곽상규·백종범 교수팀, 촉매 사용 환경 관계없이 성능· 안정성 확보

[연구진사진] (좌측부터) 김건태 교수, 양예진 연구원, 백종범 교수, 김정원 연구원/사진 제공=UNIST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꼭 필요한 촉매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저렴하고 안정성도 우수한 촉매를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김건태·곽상규·백종범 교수팀은 물 전기 분해와 같은 전기화학 반응에서 산도(pH)가리지 않고 안정성이 뛰어난 루테늄 기반 촉매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순수한 물은 전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염기성이나 산성 전해질을 첨가한다. 촉매는 이 때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여주는 물질로 소모되는 에너지를 많이 줄여줄수록 효율적인 촉매라고 한다. 

그러나 물 분해와 같은 각종 전기 화학반응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면 효율성과 더불어 장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춘 촉매가 필요하다. 많이 사용되는 귀금속 백금(Pt)의 경우 효율을 높지만 염기성에서 쉽게 부식돼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루테늄 및 탄소 지지체 촉매 합성 모식도: 가장자리(edge) 활성 사이트(active site)를 이용하여 수소 발생 촉매의 활성도를 높임./이미지 제공=UNIST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된 촉매는 산성과 염기성뿐만 아니라 중성 용액에서도 잘 작동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수소와 전기를 생산하는 '수계 금속(아연)-이산화탄소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한다. 

수계 금속(아연)-이산화탄소 시스템(Aqueous Zn-CO₂ system)은 김건태 교수팀이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으로 수용액 내부는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중성 상태이다. 

연구진은 루테늄 금속을 2차원 탄소 물질인 '그래핀'의 가장자리에만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이용해 효율은 높으면서도 전 범위의 산도에서 내구성이 강한 루테늄 기반 촉매 구조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루테늄 금속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그래핀의 ‘가장자리’ 부분인 ‘에지’에만 질소를 도핑(doping)하면, 루테늄이 질소를 따라 가장 자리 부분에만 결합하는 현상을 이용했다. 질소는 전자를 받으려는 성질이 강하고 루테늄은 전자를 주려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이다.

테늄 및 탄소 지지체 촉매 수소 발생 활성 위치(반응 위치) 분석 : 루테늄과 탄소 지지체의 강한 결합이 있는 곳에 수소 발생 반응 활성도가 뛰어난 것을 확인함/이미지 제공=UNIST

이번 연구에서는 ‘루테늄 금속(Ru)’과 ‘가장자리(edge)에 질소(N) 도핑된 그래핀 복합체’가 결합된 ‘루테늄 탄소 복합 촉매(Ru-ENG)’를 제조해, 가장자리를 따라 루테늄 금속이 결합하는 형태가 이상적인 수소발생반응 촉매의 활성 구조임을 찾아낸 것이다.

제1저자 양예진 연구원은 “금속과의 뛰어난 결합력을 가지는 에지를 이용해, 모든 수계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된 촉매를 물 전기 분해 시스템과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우수한 수소 발생 반응성과 내구성을 확인했다. 특히 물 전기 분해 시스템에서는 산도에 관계없이 1500시간 동안 시간 작동했다.

공동 제1저자 김정원 연구원은 “실험 결과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에서 수소 발생 효율을 알 수 있는 전류밀도 값도 백금보다 높았다”고 말했다.

김건태 교수는 “선택적 도핑을 통해 가격도 저렴하고 중성을 포함한 모든 산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촉매를 개발했다”며 “이번에 개발된 촉매 구조는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중성 환경에서도 잘 작동하기 때문에 물 전기 분해 시스템뿐만 아니라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의 상용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수행은 한국동서발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NRF) 등 지원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에너지(Nano Energy)에 7월 6일자로 'Edge-selective decoration with ruthenium at graphitic nanoplatelets for efficient hydrogen production at universal pH'라는 논문명으로 온라인 공개됐다. 

포인트경제 김민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