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인 호불호 과일 두리안, 중국 소비 급증
소셜미디어상 유행, 온·오프라인 품귀현상 이어져
중국 두리안 수입국 늘리고 나서.. 태국·베트남은 두리안 재배 농토 늘어나고 있어
'대만산 파인애플'·'필리핀산 바나나'처럼 중국에 대한 높은 두리안 수출의존도는 문제 될 수도
두리안 수입국 결정 시기도 미묘, 중국의 외교적 판단이라는 해석도

'악마의 과일'이라면서 한편으로는 '과일의 왕'이라고도 불리는 두리안. 뾰족한 철퇴 모양을 하고 있는 두리안은 고약한 냄새로 충격을 주지만, 버터와 같은 식감의 과육이 주는 달콤함을 가지고 있어 극단적인 호불호를 가지고 있는 과일이다.

두리안 /사진=픽사베이

그런데 최근 중국의 두리안 소비가 심상치 않을 정도로 높아지고 있다. 국제무역센터(ITC)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두리안 총 수출량은 205만 톤을 기록했는데, 중국이 지난해 수입한 두리안이 약 82만 톤으로 점유율로 따져보면 약 40%에 달한다. 그런가 하면 태국 상무부는 중국이 지난해 태국 두리안 수출의 96%를 차지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 중국에서는 '두리안 랜덤박스'라는 유행이 일고 있으며, 온·오프라인에서는 수요를 못 따라가 두리안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두리안 랜덤박스는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두리안 껍데기를 벗겼을 때 과육이 많은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황이지만 중국에서는 아직 두리안이 제대로 재배되지 못하는 실정이라 수입처와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중국의 해관총서(세관)는 지난해 7월 베트남 두리안 수입을 공식적으로 인정했고, 올해 1월 필리핀 두리안 수입을 시작했다. 현재는 태국·말레이시아·베트남·필리핀이 중국에 두리안을 수출하는 국가들이다.

중국 시장의 급격한 확대로 두리안을 생산하는 국가들도 대응에 나섰다. 태국과 베트남의 경우 고무와 커피 같은 작물을 재배하던 것을 두리안으로 전환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태국은 2011년 이후 두리안 재배 농토가 6배나 늘었을 정도. 다만 두리안 나무는 수확하는데 최소 5~7년이 걸리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고, 최근 덥고 건조한 날씨로 인해 과육이 줄어드는 것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두리안을 포장하고 있는 베트남 노동자들 / 신화뉴스 갈무리
중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두리안을 포장하고 있는 베트남 노동자들 / 신화뉴스 갈무리

두리안을 생산하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에게는 지금이 분명 기회일 수 있지만 마냥 좋다고 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많다. 중국 소비 의존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다른 영역, 특히 외교적 문제에서 압박으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가까운 예로 2021년 중국의 대만산 파인애플 수입 금지를 들 수 있다. 당시 대만산 파인애플에서 유해 생물이 검출됐다는 것이 금지의 표면적 이유였지만, 미중 갈등과 양안 갈등에 대한 보복성 조치라는 것이 중론이다. 파인애플 생산량의 90% 이상을 중국에 팔던 대만 입장에서는 중국의 조치가 큰 타격이 되었고 이를 대처하는데 큰 고생을 한 것은 물론이다.

2012년 중국과 필리핀의 남중국해 영유권 마찰은 바나나 문제로 이어졌다. 당시에도 중국은 필리핀산 바나나에서 해충이 발견됐다며 수입을 거부했는데, 2016년 방중한 두테르테 당시 필리핀 대통령이 미국과의 결별 태도를 보이고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은 헤이그 상설중재재판소(PCA) 결정을 거론하지 않으면서 수입 금지 조치가 해제된 바 있다.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고위급 화상 회의 / 대통령실 제공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고위급 화상 회의 / 대통령실 제공

중국의 두리안 수입 결정 시기도 미묘해 보인다. 베트남 두리안 수입을 결정했던 지난해 7월보다 2달 앞선 5월에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주도의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출범이 있었다. 대중국 견제 엿보이는 명확한 이 협력체에 베트남과 필리핀도 동참하자 중국 입장에서 대응하는 차원으로 두리안 수입개방을 단행했다는 해석이다.

중국은 '두리안 자유'를 확보하겠다며 두리안의 국내 생산 시도에 열을 올리고 있고, 인기를 인정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과거 많은 사례에서 유행도 통제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왔던 중국이다 보니 그 진의에 대한 의심을 쉽게 피할 수는 없어 보인다.

포인트경제 송영권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