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12-12 00:06 (화)
제보룸
제목 작성자 날짜 결과
기타 강서7호점우리동네키움센터 대상자 모집 강서7호점우리동네 2023-12-09 14:53
전체 치매노인이 십수년간 폐지 고물판돈 수급비 모은돈 전재산을 돌봐주는요양사에게 빼앗긴(절도 횡령) 경찰협조아래 이하봉 2023-12-07 09:20
전체비밀  비밀 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 헌법 김학명검토중 2023-12-01 15:50
사각지대 대한민국이 저희를 버리나 봅니다 김학명검토중 2023-11-29 13:30
기타 다문화 가정 울리는 정책 최유진검토중 2023-11-16 12:08
사건·사고비밀  비밀 울산 s정비공장 사장과 상간녀 의 만행 김은주검토중 2023-11-06 17:35
비리비밀  비밀 우리은행만 연대보증을 강요하여 억울한 피해를 야기하는 이유는? 신승익검토중 2023-10-31 11:58
기타비밀  비밀 일성건설 재도색 보상 제보드립니다 양소리기사보도 2023-10-13 10:18
환경/유해물질 지역 주택 조합의 횡포 우길순(가명)검토중 2023-10-06 11:57
비리비밀  비밀 고발합니다. red02처리불가 2023-10-05 08:53
미담비밀  비밀 이런거 제보해되나요? 이석현게시완료 2023-09-18 09:58
사건·사고비밀  비밀 제보 하나 올려봅니다. 김지성처리방법안내(메일) 2023-09-14 14:17
icon 제보하기
식탁으로 다가오는 귀뚜라미
상태바
식탁으로 다가오는 귀뚜라미
  • 김민철 기자
  • 승인 2022.11.30 12: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귀뚜라미 분말을 사용한 메뉴를 급식에 선보인 일본 고등학교
가축에 비해 환경에 바람직한 식용 곤충, 롯데제과 투자 눈길
시장조사기관들은 세계 곤충 단백질 시장·곤충 기반 사료 시장의 성장세 높게 평가

최근 일본 도쿠시마(徳島) 현립 고마쓰시마 니시고등학교 급식에서 식용 귀뚜라미를 사용한 메뉴가 등장해서 화제다. 도쿠시마대학 내 벤처기업 '그릴라스(グリラス)'와 고등학교 식품과 학생이 협력해서 개발한 귀뚜라미 분말을 반죽해서 튀긴 호박고로케가 해당 메뉴다.

일본 내에서 학교 급식으로 식용 귀뚜라미 분말이 사용된 것은 최초다. 급식을 접한 한 학생은 "호박의 단맛과 귀뚜라미의 고소함이 잘 어울린다"라는 평가를 내놓는가 하면, 촬영에 나선 카메라맨도 "위함감도 전혀 없다. 맛있고 고소하다"라고 소감을 남기기도 했다고. 이 같은 반응에 힘입어 학교 측은 귀뚜라미를 활용한 급식 메뉴를 더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어렵지 않게 예상할 수 있겠지만 이런 시도는 소나 돼지 등에 비해 환경에 부담이 적고 식량부족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식용 귀뚜라미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일환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식용 곤충 사육이 다른 가축 사육보다 훨씬 적은 온실가스 배출과 적은 물 소비량을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일례로 FAO에 따르면 귀뚜라미의 경우 같은 양의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소의 12분의 1 정도의 사료만 필요로 한다고.

롯데제과는 지난 3월 캐나다 식용 곤충 제조기업 '아스파이어 푸드 그룹(Aspire food Group)'에 펀드 출자 형태로 100억 원을 투자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2016년에 설립된 아스파이어 푸드 그룹은 귀뚜라미를 이용한 단백질 분말 제품을 중점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다.

롯데제과 /사진=구글어스

지난 8월에는 대체 단백질 산업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와 곤충 소재 분야에서 양사 간의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을 진행했는데, 사업 확대 협력·공동연구·한국 내 독점 판매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롯데제과가 미래 대체 단백질로서 식용 곤충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는 것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렇다면 이런 소식들이 여전히 이색적인 것에 머무르는 것일까? 아니다 관련 시장규모의 성장 전망은 상당하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는 2020년 세계 곤충 단백질 시장 규모를 2억 5천만 달러(약 3305억 원)로 추산, 2021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27.4%의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다. 또 다른 시장조사기관 FMI(Future Market Insights)는 전 세계 곤충 기반 사료 시장 규모를 2021년 70억 9천만 달러(약 9조 3680억 원)로 보고, 2030년에는 172억 5천만 달러(약 22조 7960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올해 7월 발표한 ‘2021년 곤충산업 실태조사’도 눈에 띈다. 국내 곤충산업 규모는 2021년 446억 원선으로 아직 그 크기가 크지 않지만 여기서 식용 곤충 비중은 231억 원으로 전체의 51.8%의 비중을 차지한다.

식문화의 변화는 그 속도가 빠르지 않아서 아직 시기 상조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일단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면 그 방향으로 가속도를 얻는 것도 문화의 특징이다. 어쩌면 귀뚜라미는 생각보다 우리 식탁에 가까이 와있는지도 모른다.

케미컬뉴스 김민철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