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도심(용산)과 배경지역(관악산)의 이산화탄소 실측 농도 비교
이산화탄소 농도는 용산 〉남산하층부 〉남산상층부 〉관악산 순으로 높아
용산과 관악산의 차이는 20 ~ 27 ppm 수준, LA와 북경보다 낮아
농도 차의 원인, 건물 난방 및 교통 등 도심 내부의 직접 배출로 추정
연구결과, 아시아 태평양 대기과학 저널에 온라인 게재

중부 지역의 장마가 49일째 이어지며 역대 최장기간 기록을 보이는 지난 11일 서울 동대문구 한 주택이 폭우로 무너져 있다. /사진=뉴시스

최근 역대 최장 장마와 기록적인 폭우로 기후위기를 실감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폭우와 같은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주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도시 내부 자체 배출을 관측하고 국내 최초로 이산화탄소의 '도시 증가분'을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서울시내 4곳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관측해 비교한 결과 서울 도심은 배경 지역에 비해 여름철에는 27ppm이, 겨울철에는 20ppm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산화탄소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비롯해 사람의 활동으로 배출되나 국내에서 실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을 측정해 도심과 배경 지역의 농도를 비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이산화탄소 측정 지점 /이미지=서울시
이산화탄소 측정 지점 /이미지=서울시

농도 차의 주원인으로 연구진은 주로 건물 난방 및 교통 등 도심 내부의 직접 배출로 추정했다. 

서울 중심에 위치해 이산화탄소의 인위적 배출 영향 관찰에 적합한 용산 관측지에서 가장 높은 농도인 448ppm을 나타냈고, 해발 630m에 위치해 배경 지역을 대표하는 지점인 관악산은 423ppm 으로 도심이 배경 지역보다 최대 24ppm 높았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용산 448ppm, 남산 하층부 444ppm, 남산 상층부 434ppm, 관악산 423ppm 순으로 높았다.

서울의 도시증가분(20~27ppm)을 다른 도시와 비교하면, LA 30ppm, 북경 28ppm 보다는 낮지만 파리 7ppm, 보스턴 16 ppm 등 보다는 높다.

측정 지점별 이산화탄소 농도 /이미지=서울시

서울시는 배경 지역 측정소인 관악산과 도심 배출량 모니터링을 위해 남산, 올림픽공원 등 총 3곳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관측하고 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 효과를 유발하는 가스상 물질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등이 있다.

이번 연구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기후융합과학연구실이 지난해 5월 서울시의 온실가스 모니터링 및 연구를 위한 협약을 맺고 공동 연구를 추진한 결과다. 

'저비용 센서를 이용한 서울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모니터링 과제' /아시아 태평양 대기과학 저널 캡쳐

또한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7월 30일 아시아 태평양 대기과학 저널(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에 'Challenges in Monitoring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s in Seoul Using Low-Cost Sensors' 이라는 논문명으로 온라인 게재됐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달 8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2050년 탄소중립 도시 달성을 목표로 건물, 교통, 숲, 에너지, 자원순환 등 5대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담은 '2050 온실가스 감축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안면도와 제주도 고산 관측소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세계기상기구 관측시스템에 가입하여 제출하고 있으며, 미국, EU, 일본 등의 선진국은 정지궤도 탄소 측정 위성을 띄워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관측 중이다.

기상청 측정 자료에 의하면 국내 이산화탄소(CO2) 농도는 1999년 이후 20년간 371.2 → 417.9 ppm 으로 46.7 ppm 증가하였으며,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온난화로 해수면은 1989년 이후 49.7 mm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인트경제 김수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