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 과제 참여 석·박사 대상 산학장학생 선발 등 인재 양성
"고부가 혁신 기술 개발에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을 것"
“LG화학은 3대 신성장동력의 실현을 가속화, 미래 기술 개발 집중"
LG화학이 고부가가치 차세대 소재 기술 강화를 위해 서울대학교와 손을 잡았다.
LG화학의 3대 신성장동력의 주축인 전지 소재와 친환경 소재 관련 미래 R&D 기술을 선점해 관련 시장을 선도해 나가기 위한 포석으로 LG화학은 서울대와 ‘차세대 소재 산학 협력 과제 출범식’을 가졌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LG화학 CTO(최고기술책임자) 이종구 전무와 서울대 홍유석 공과대학장이 참석했다.
양사는 ▲전고체 전지 소재 ▲바이오 소재 및 공정 ▲CO₂ 활용 합성 소재 등의 고부가가치의 차세대 소재 기술 공동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산학협력 과제를 수행하는 석ᆞ박사를 대상으로 산학장학생을 선발하여 등록금과 생활비를 지원하고, 추후 채용까지 연계하는 등 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한다.
이종구 LG화학 CTO는 “최고의 인재와 기술력을 보유한 서울대와 협력으로 저탄소 사회로 전환을 선도하는 고부가 혁신 기술 개발에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LG화학은 전지 소재, 친환경 지속가능 소재 등 3대 신성장동력의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오픈 이노베이션 등 다양한 전략으로 미래 기술 개발에 집중해 나가겠다”
함께 볼 기사 :
LG화학, 美 조지아주에 미래 기술 확보 위한 연구소 오픈

한편, LG화학은 미국 테네시주 양극재 공장과 일리노이주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PLA)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2차 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분리막을 비롯해 CNT, 음극 바인더 등 다양한 전지 소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 변화에 따른 신규 소재의 R&D를 강화하기 위해 국내외 유수 대학들과 산학협력을 적극 추진 중이다.
전지 소재, 친환경 소재 관련 선도 기술 연구가 활발한 북미 지역 등에서 차세대 전지 소재, 리사이클링·바이오 플라스틱 등 3대 신성장동력 관련 연구개발 역량을 내재화하고, 우수인재를 발굴에 힘쓰고 있다.
최근 LG화학은 미국 조지아주에 북미 이노베이션 센터(North America Innovation Center)를 열고, 조지아공과대학(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과 신기술 연구개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북미 이노베이션 센터를 확대 개편해 2025년까지 독립 시설을 갖춘 북미 핵심 연구거점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케미컬뉴스 심성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