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12-12 00:06 (화)
제보룸
제목 작성자 날짜 결과
기타 강서7호점우리동네키움센터 대상자 모집 강서7호점우리동네 2023-12-09 14:53
전체 치매노인이 십수년간 폐지 고물판돈 수급비 모은돈 전재산을 돌봐주는요양사에게 빼앗긴(절도 횡령) 경찰협조아래 이하봉 2023-12-07 09:20
전체비밀  비밀 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 헌법 김학명검토중 2023-12-01 15:50
사각지대 대한민국이 저희를 버리나 봅니다 김학명검토중 2023-11-29 13:30
기타 다문화 가정 울리는 정책 최유진검토중 2023-11-16 12:08
사건·사고비밀  비밀 울산 s정비공장 사장과 상간녀 의 만행 김은주검토중 2023-11-06 17:35
비리비밀  비밀 우리은행만 연대보증을 강요하여 억울한 피해를 야기하는 이유는? 신승익검토중 2023-10-31 11:58
기타비밀  비밀 일성건설 재도색 보상 제보드립니다 양소리기사보도 2023-10-13 10:18
환경/유해물질 지역 주택 조합의 횡포 우길순(가명)검토중 2023-10-06 11:57
비리비밀  비밀 고발합니다. red02처리불가 2023-10-05 08:53
미담비밀  비밀 이런거 제보해되나요? 이석현게시완료 2023-09-18 09:58
사건·사고비밀  비밀 제보 하나 올려봅니다. 김지성처리방법안내(메일) 2023-09-14 14:17
icon 제보하기
LG화학-서울대, 고부가가치 차세대 소재 기술 강화 나서
상태바
LG화학-서울대, 고부가가치 차세대 소재 기술 강화 나서
  • 심성필 기자
  • 승인 2023.11.17 09: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고체 전지·바이오 소재, CO₂활용 합성소재 등 공동 개발
협력 과제 참여 석·박사 대상 산학장학생 선발 등 인재 양성
"고부가 혁신 기술 개발에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을 것"
“LG화학은 3대 신성장동력의 실현을 가속화, 미래 기술 개발 집중"

LG화학이 고부가가치 차세대 소재 기술 강화를 위해 서울대학교와 손을 잡았다.

LG화학의 3대 신성장동력의 주축인 전지 소재와 친환경 소재 관련 미래 R&D 기술을 선점해 관련 시장을 선도해 나가기 위한 포석으로 LG화학은 서울대와 ‘차세대 소재 산학 협력 과제 출범식’을 가졌다고 17일 밝혔다.

LG화학 이종구 전무(왼쪽)와 서울대학교 홍유석 공과대학장(오른쪽)이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서 차세대 소재 산학 협력 과제 출범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G화학 제공

이날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LG화학 CTO(최고기술책임자) 이종구 전무와 서울대 홍유석 공과대학장이 참석했다.

양사는 ▲전고체 전지 소재 ▲바이오 소재 및 공정 ▲CO₂ 활용 합성 소재 등의 고부가가치의 차세대 소재 기술 공동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산학협력 과제를 수행하는 석ᆞ박사를 대상으로 산학장학생을 선발하여 등록금과 생활비를 지원하고, 추후 채용까지 연계하는 등 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한다.

이종구 LG화학 CTO는 “최고의 인재와 기술력을 보유한 서울대와 협력으로 저탄소 사회로 전환을 선도하는 고부가 혁신 기술 개발에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LG화학은 전지 소재, 친환경 지속가능 소재 등 3대 신성장동력의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오픈 이노베이션 등 다양한 전략으로 미래 기술 개발에 집중해 나가겠다”

LG화학이 24일(현지시각) 조지아텍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위치한 조지아텍에서 차세대 전지 소재 등 미래 기술 공동 연구와 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오른쪽부터 LG화학 CTO 이종구 전무, 조지아공과대 쇼우키 압달라 연구담당 수석 부총장) /LG화학 제공
LG화학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각) 조지아텍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위치한 조지아텍에서 차세대 전지 소재 등 미래 기술 공동 연구와 인재 육성을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오른쪽부터 LG화학 CTO 이종구 전무, 조지아공과대 쇼우키 압달라 연구담당 수석 부총장) /LG화학 제공

한편, LG화학은 미국 테네시주 양극재 공장과 일리노이주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PLA)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2차 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분리막을 비롯해 CNT, 음극 바인더 등 다양한 전지 소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 변화에 따른 신규 소재의 R&D를 강화하기 위해 국내외 유수 대학들과 산학협력을 적극 추진 중이다.

전지 소재, 친환경 소재 관련 선도 기술 연구가 활발한 북미 지역 등에서 차세대 전지 소재, 리사이클링·바이오 플라스틱 등 3대 신성장동력 관련 연구개발 역량을 내재화하고, 우수인재를 발굴에 힘쓰고 있다.

최근 LG화학은 미국 조지아주에 북미 이노베이션 센터(North America Innovation Center)를 열고, 조지아공과대학(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과 신기술 연구개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북미 이노베이션 센터를 확대 개편해 2025년까지 독립 시설을 갖춘 북미 핵심 연구거점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케미컬뉴스 심성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