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분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을 실증위한 순수 연구시설
방사성폐기물은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에 절대 반입되지 않아
지난 18일 디지털타임스가 단독으로 보도한 '`급한 불` 방폐장, 연구시설부터 짓는다'와 관련하여 1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포함한 일체의 방사성폐기물은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에 절대 반입되지 않으며 유력 후보지도 아직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디지털타임스는 "정부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장(방폐장) 건설에 앞서 지하연구시설부터 짓기로 했으며, 다음 달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후보지 선정을 위한 공모를 시작한다"며, "원전 관련 시설을 보유한 경북과 부산, 원자력연이 심층 처분 연구를 위한 지하시설을 이미 운영하고 있는 대전 등 세 곳이 유력한 후보지로 꼽힌다"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하여 산자부는 아직 부지공모 등 구체적 추진 시점은 결정되지 않았으며, 유력후보지역에 대해서도 정해진 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에 필요한 처분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을 실증하기 위한 순수 연구시설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은, 원전에서 나온 사용 후핵연료를 발전소 부지 내에 저장하기 위한 ‘원전 부지 내 (건식)저장시설’과는 연관성이 없다고 설명했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포함한 일체의 방사성폐기물은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에 절대 반입되지 않는다
산자부는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의 부지선정 및 건설 등을 주관하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설계 등에 참여하며, 시설을 확보한 뒤에는 양 부처가 관련 R&D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8월 이창양 산자부 장관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2단계 표층처분시설 착공식에 참석하여 처분시설의 안전한 건설·운영을 당부하고, 이어 월성원전과 건식저장시설을 방문하여 운영현황을 점검한 바 있다.
지난 2014년 완공된 1단계 동굴처분시설에 이어 추진되는 2단계 표층처분시설은 당시 국내 최초의 저준위 이하 방폐물 처분시설로서, 12.5만 드럼(200ℓ 기준)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진다고 산자부는 밝혔다.
케미컬뉴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