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09-29 11:24 (금)
셀트리온, 자가면역치료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미국 특허 합의 완료
상태바
셀트리온, 자가면역치료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미국 특허 합의 완료
  • 김지연 기자
  • 승인 2023.08.25 09: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셀트리온의 'CT-P43', 오리지널의약품사와 2025년 3월 7일 출시로 합의 완료
선두그룹으로 美 출시 기대… 내년 허가 목표로 6월 FDA 허가 신청 완료
약 17조 7천억원 규모의 세계 최대 우스테키누맙 시장 공략 가시화

25일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치료제 스텔라라(STELAR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 개발사인 얀센의 모회사 존슨앤존슨(Johnson&Johnson, J&J)사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의 미국 내 특허 합의를 최종 완료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이 개발한 ‘CT-P43’은 미국 허가 획득 시 2025년 3월 7일부터 미국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선두그룹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됐다. 앞서 셀트리온은 지난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내년 품목 허가를 목표로 'CT-P43'의 허가 신청을 완료한 상태다.

'CT-P43'의 오리지널 의약품인 스텔라라는 얀센(Janssen)이 개발한 인터루킨(IL)-12, 23 억제제로 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다. 스텔라라의 물질 특허는 미국에서 올해 9월, 유럽에서 2024년 7월에 각각 만료될 예정이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STELAR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 / ⓒJanssen Biotech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STELARA, 성분명:우스테키누맙)' /ⓒJanssen Biotech

미국은 우스테키누맙의 세계 최대 시장으로 꼽히는 만큼, 판매가 시작되면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앞서 시장에 진출한 TNF-α(종양괴사인자) 억제제인 램시마에 더해 인터루킨 억제제 제품까지 포트폴리오가 확장되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글로벌의약품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우스테키누맙 시장 규모는 177억 1300만 달러(한화 약 23조 269억 원)에 달하며, 그중 미국 시장은 136억 2800만 달러(한화 약 17조 7164억 원)로 전체 시장의 약 77%를 차지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셀트리온은 CT-P43이 허가 후 즉시 조기 판매가 가능하도록 오리지널의약품 개발사와 합의를 원만히 진행해 왔으며, 이번 특허 합의로 우스테키누맙 최대 시장인 미국 공략이 가시화됐다”라며, “남은 허가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해 CT-P43을 조속히 시장에 선보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 CI
셀트리온 CI

한편, 지난 24일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이 투자자대상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올해 셀트리온헬스케어 매출이 2조 3천억~2조 5천억 정도 예상한다고 밝혔다. 내년 램시마SC가 유럽에서 2300억, 미국에서 6천억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며, 트룩시마 및 허쥬마는 이미 가격이 많이 내려가 있고 안정적인 거래처에 공급 중이기 때문에 시장 증가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유플라이마 내년 유럽에서 2천 800억 원, 북미에서 2천300억 원 예상하며, 베그젤마 또한 내년 미국, 유럽에서 3000억 이상 판매될 것으로 봤다. 특히 최근 미국 시장에 안착 중인 유플라이마와 베그젤마가 미국 주요 보험사 처방집과 PBM 선호의약품 목록 등재가 확대되면서, 매출에 대한 기대가 현실화되는 동시에 직판에 따른 매출 효과도 곧 가시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케미컬뉴스 김지연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