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야말로 반려동물 전성시대지만, 늘어가는 '펫팸(Pet+Familiy)족'들 중에는 초보 보호자들도 많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들 중 반려동물이 먹지 말아야 할 것들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번에는 반려묘가 먹지 말아야 할 음식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 초콜릿과 커피
개와 마찬가지로 고양이에게도 치명적이다. 테오브로민(theobromine)과 카페인(caffeine)에 많이 노출될 경우 고양이의 심부전과 혼수상태를 겪을 수 있으므로 절대 먹게 해서는 안 된다.
◆ 마늘과 양파
마늘과 양파도 개와 마찬가지로 고양이에게 치명적이다. 마늘과 '파 종류'에 들어있는 티오황산염이 고양이에게 빈혈은 물론 복통, 구토 및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심각할 경우 적혈구를 손상시킨다.
◆ 우유
새끼 고양이가 우유를 할짝거리는 모습은 우리에게 익숙한 이미지다. 하지만 그건 고양이 전용 우유나 가능한 이야기로 사람이 마시는 우유는 가급적 고양에게 줘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고양이는 우유에 함유된 락토스(lactose)를 분해할 효소가 충분하지 않은 유당불내증이 있다. 그래서 사람이 먹는 유제품(치즈나 크림도 포함)이 위장을 자극해서 구토와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 날달걀, 고기, 생선
고양이가 사냥 본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날것을 섭취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익히지 않은 육류에 있을 수 있는 대장균, 살모넬라 박테리아, 기생충은 고양이에게 설사, 구토, 무기력증을 일으킬 수 있고 심각할 경우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날달걀 흰자에 있는 아비딘이라는 단백질도 고양이에게는 좋지 않다. 아비딘이 비타민B7(비오틴)의 흡수를 방해해서 피부 상태와 털 상태를 칙칙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 해산물
생참치, 멸치, 정어리, 홍합, 조개 등 물에 사는 해산물은 앞서 설명한 날것의 위험뿐만 아니라 비타민B1(티아민, thiamine)을 분해하고 결핍을 일으킬 수 있는 티아미나아제(thiaminase) 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피해야 한다. 티아민 부족은 중추신경계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해산물을 가열해서 조리할 경우는 티아미나아제 효소를 변화시켜 무해하게 만든다. 다만, 가급적 지방이 적은 흰 살 생선을 가시를 잘 제거한 상태에서 간식용으로 약간만 주는 것을 추천한다.
◆ 개 사료
개와 고양이를 함께 키우는 집들도 많아지고 있는데 개 사료와 고양이 사료는 구분을 해줘야 한다. 고양이와 개가 필요로 하는 영양소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고양이 사료에 많이 포함되어야 할 비타민A, 타우린, 아라키돈산, 단백질이 개 사료에는 없거나 부족하다. 고양이의 경우 타우린이 없으면 심장병과 시력 및 치아 관련 질병을 겪을 수 있다.

◆ 기타
포도와 건포도는 급성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급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생반죽을 고양이가 먹을 경우 반죽에 들어있는 효모가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해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입에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생선 가시는 물론 닭·칠면조 등과 같은 새들의 작고 잘 부서지는 뼈는 고양이의 입과 소화기관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급여 시 주의해야 한다.
케미컬뉴스 김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