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6월 17일, UN이 지정한 '세계 사막화 방지의 날'
사막화의 악순환은 야생동물, 식량난에 직격탄
산림조성을 위한 국가 단위의 협력과 장기적인 계획 및 실천 필요
황폐화된 땅을 경작지로 바꿔주는 나노기술 주목

1994년 국제연합(UN)에서는 매년 6월 17일을 '세계 사막화 방지의 날(World Day to Combat Desertification and Drought)'로 지정했다. 사막화방지협약(UNCCD) 채택을 기념하는 날로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인 사막화를 막기 위한 노력을 공식적으로 천명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 협약에 1999년 8월 17일 156번째로 가입하였다.

기후변화와 인간의 무분별하고 인위적인 개발 활동은 삼림의 황폐화와 토양의 침식 등을 일으켰고 이는 토지의 사막화로 이어졌다. 숲이 줄어들고 사막이 늘면 태양에너지의 반사율이 증가하고 지표면의 온도는 낮아진다. 낮은 온도의 지표면으로 인해 건조한 하강 기류가 생성되면 강우량 감소와 가뭄으로 이어져 사막화의 악순환이 반복된다.

건조한 미래(2011-2040): 2040년에는 비건조 지대의 대도시 중 70% 이상이 건조해질 것이며, 그 중 29%만이 더 습해질 것이라고 말한다. /이미지=Down To Earth 갈무리

이와 같은 과정에서 가장 먼저 산소와 물이 부족해지는데 이는 야생동물에게 치명적이며, 작물 재배에도 타격을 입혀 식량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현재 사막화는 100개국 이상에서 진행되고 있고, 유럽위원회 공동연구센터의 2018년 세계사막화지도(World Atlas of Desertification)에 따르면 지구 육지 면적의 75%가 이미 황폐화되었으며 2050년까지 90% 이상이 황폐화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미 우리나라는 몽골과 중국 일대의 사막화로 인해 지속적으로 황사 등의 피해를 입고 있으며, 북한의 산림 황폐화도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 및 지역단위의 협력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계획과 실천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 산림청은 2007년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을 발족해서 1단계 사업으로 10년간 고비사막 등 황무지 3046ha의 사막화 방지 조림을 진행했다. 현재 2단계 사업으로 2017년부터 올해까지 조림지 이관 및 울란바토르 도시숲 조성을 진행 중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몽골 산림분야 공무원에 대한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교육도 지원하고 있다.

이 밖에도 중국 시안(西安) 주재 한국총영사관은 2010년부터 한중 우호림을 조성해왔고, 수원시는 몽골 자연환경관광부와 협약을 통해 2011년 4월부터 몽골에 있는 '수원 시민의 숲'에 10만 그루의 나무를 심기도 했다. 기업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현대차 그룹이 2008년부터 중국 네이멍구 사막화 방지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현대그린존 프로젝트'가 있다.

지구를 다시 녹색으로 변화할 방법 /이미지=Desert Control 갈무리

사막화 대응을 위한 기술적인 발전도 진행되고 있다. 노르웨이의 '데저트 컨트롤'이라는 회사는 나노 기술을 통해 황폐한 땅을 질 좋은 경작지로 바꿔주는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액상 나노 점토(LNC)'를 뿌려 모래 입자들을 코팅해서 수분과 영양분이 새지 않고 모래에 달라붙게 해서 작물 재배가 가능한 흙으로 변환시켜 주는 것이다.

이 점토의 나노 스케일 구조는 토양에 물을 보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미지=Desert Control , BBC 갈무리
이 점토의 나노 크기 구조는 토양에 물을 보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미지=Desert Control , BBC 갈무리

사막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일반 토양에서보다 3배의 물이 필요한데 이 기술을 적용할 경우 소요되는 물을 절반가량 줄일 수 있고 수확량도 최대 62%까지 늘릴 수 있다. 무엇보다 이 방식은 7시간 만에 땅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인데 사막을 경작지로 바꾸는데 기존에는 7~12년가량의 시간이 걸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놀라운 일이다. 물론, 아직 높은 비용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관찰이 병행되어야 하는 숙제가 있다.

ESG(환경·사회·지배 구조) 경영이 필수로 요구되는 시대다. 유럽의 주요 나라들은 2000년부터 ESG 정보 공시 의무 제도를 도입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5년부터 자산총액 2조 원 이상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일명 ESG 공시가 의무가 되고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 터전을 지키기 위한 모든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포인트경제 김민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