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영국서 들여온 플라스틱 폐기물 심각한 환경 오염 초래
20일 터키 정부, 에틸렌 폴리머 플라스틱 폐기물 수입 금지 발표
2018년 필리핀에서 한국발 불법 플라스틱 쓰레기 존재로 논란돼
2020년 환경부, 필리핀서 돌아온 쓰레기,국내 반입 후 전량 소각처리

터키 아다나에서 영국 포장이 버려진 플라스틱 더미에서 발견되다 /사진=그린피스 보고서

영국이 재활용하고 있다고 말하는 플라스틱의 절반 이상이 해외로 보내지고 있다. 주요 목적지였던 중국은 2017년 플라스틱 수입을 금지한 이후 터키가 영국의 플라스틱 폐기물 주요 수용국으로 부상했다. 

문제는 이렇게 보내진 플라스틱 쓰레기가 재활용 되지않고, 버려지고 태워져 결국 산에 쌓여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간다고 그린피스가 최근 보고했다.

지난 3월 터키 남부 도시 아다나 주변 10곳을 조사한 그린피스의 보고서 '트래시드(Trashed)' 데이터 발표에 따르면 테스코(Tesco), 아스다(Asda) 등의 비닐 포장이 버려지거나 불에 탄 것이 발견됐으며, B&Q, Spar 등의 플라스틱 쓰레기도 발견됐다.

 말레이시아 쓰레기장에서 영국 플라스틱 폐기물 발견 /사진=그린피스 보고서

슈퍼마켓의 비닐 봉지와 포장은 강과 들판, 기차 선로, 길가에 버려졌으며, 플라스틱은 태워지기도 했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수로로 쏟아져 내려가고 있었고, 이러한 폐기물이 태워지는 것은 지역적으로 심각한 환경 오염의 결과를 초래한다고 그린피스는 밝혔다.

인터폴은 오염의 문제뿐만아니라 터키와 다른 국가로 보내지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증가는 불법 폐기물 거래를 더 폭발적으로 증폭시킨다고 했다.

그린피스는 영국 정부에 환경법안을 제정해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을 금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와 같이 경제협력 개발기구(OECD) 회원국이 아닌 국가에 대한 모든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을 포함해 터키 등 OECD 국가의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을 즉시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에서 터키로 오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경제적 기회가 아니라 환경적 위협

영국과 유럽연합의 규정에 따르면 플라스틱 폐기물은 재활용되지 않는 한 다른 국가로 수출되서는 안된다. 그러나 유럽 전역에서 매일 약 241대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터키로 유입되고 있으며 이것은 2016년에 수입된 양보다 20배 더 많은 수치다.

영국에서 터키로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출처=영국무역정보, 그린피스 보고서 갈무리

터키 정부는 1월부터 플라스틱 폐기물 수입 금지를 발표하면서 단속에 들어갔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2021년 2월의 수치는 3만300톤으로 전년 2월 대비 두 배 이상이다. 영국 정부 무역정보(UK Trade Info)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지난해 6만5천 톤을 영국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들여왔으며, 폴란드는 3만8천 톤을 들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터키 아다나 지역에서 타오르는 폐기물 근처에서 발견된 테스코 체다 플라스틱 포장지 /사진=그린피스

이러한 논란이 일자 20일 터키 정부는 에틸렌 폴리머 플라스틱 폐기물 수입을 금지하겠다고 밝혔으며, 그린피스는 "폐기물 수입 제로 목표를 향한 매우 중요한 조치"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있었다.

필리핀으로 플라스틱 쓰레기가 불법 수출됐다가 2019년도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2018년 말 필리핀에서 한국발 불법 플라스틱 쓰레기 6500톤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었다.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조각으로 신고돼 필리핀으로 수출되었으나 각종 유해 물질과 플라스틱이 뒤섞인 쓰레기로 가득한 것이 발견돼 당시 환경단체들은 한국 정부의 책임있는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강력히 요구한 바 있다.

2019년 필리핀 140여개 환경단체 연합인 ‘에코웨이스트’는 한국 대사관과 필리핀 관세청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사진=그린피스

2020년 2월 환경부는 필리핀으로 불법 수출됐던 쓰레기를 국내 반입 후 전량 소각처리하고 관련 2차 오염이 없도록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6월 우리 정부는 국내 폐기물 재활용 촉진을 위해 PET, PE, PP, PS(폴리스타이렌) 등 4개 품목을 수입 금지했으며, 우리 정부는 해양플라스틱 쓰레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구, 부표 보증금제도를 도입하고 친환경 부표 보급을 확대하기로 했다. 20일 해양수산부는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포인트경제 심성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