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12-05 17:41 (화)
제보룸
제목 작성자 날짜 결과
전체 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 헌법 김학명 2023-12-01 15:50
사각지대 대한민국이 저희를 버리나 봅니다 김학명검토중 2023-11-29 13:30
기타 다문화 가정 울리는 정책 최유진검토중 2023-11-16 12:08
사건·사고비밀  비밀 울산 s정비공장 사장과 상간녀 의 만행 김은주검토중 2023-11-06 17:35
비리비밀  비밀 우리은행만 연대보증을 강요하여 억울한 피해를 야기하는 이유는? 신승익검토중 2023-10-31 11:58
기타비밀  비밀 일성건설 재도색 보상 제보드립니다 양소리기사보도 2023-10-13 10:18
환경/유해물질 지역 주택 조합의 횡포 우길순(가명)검토중 2023-10-06 11:57
비리비밀  비밀 고발합니다. red02처리불가 2023-10-05 08:53
미담비밀  비밀 이런거 제보해되나요? 이석현게시완료 2023-09-18 09:58
사건·사고비밀  비밀 제보 하나 올려봅니다. 김지성처리방법안내(메일) 2023-09-14 14:17
icon 제보하기
바이러스 생존력 강해지는 가을·겨울, "좀 추워도 자주 환기해야"
상태바
바이러스 생존력 강해지는 가을·겨울, "좀 추워도 자주 환기해야"
  • 김수철 기자
  • 승인 2020.09.23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이러스는 춥고 건조한 환경에서 오래 살아남아 활발히 전파"
"습도에 약한 바이러스...비말이 수분 흡수해 무거워져 바닥에 떨어져"
"실내 건조하지 않게하고 습도 충분하게… 창문 자주 열어 환기"
ⓒ케미컬뉴스CG
ⓒ케미컬뉴스CG

선선한 가을이 오고 있지만 코로나19는 잠잠할 기세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오늘 국내 확진자수는 다시 100명대를 기록했다.

바이러스는 기온이 낮거나 건조한 환경에서 오래 살아남아 활발히 전파된다고 한다. 올 가을과 겨울 코로나19를 예방하는 환경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종합환경위생기업 세스코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살아남기 어려운 환경 조성방법'을 지난 22일 제시했다. 

습도 관리, 환기, 소독 등 일상 속 감염 예방을 위한 방법이 그 주요 내용이다. 

밀폐된 실내에서 가습기도 방법...바이러스는 습도에 약해

세스코에 따르면 감염자가 말하는 사이 튀어나온 침방울이 감염자 책상에 떨어졌다고 가정할 때, 건조되면 가벼워져 바이러스는 공기를 떠다닐 수 있다. 

겨울철의 경우 난방 등으로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비말 속 액체 성분이 빠르게 증발하고 호흡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의 입자가 작고 가벼워져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실내 습도를 높이면 바이러스가 담긴 공기 중 비말이 수분을 흡수해 무거워지고 습도가 낮을 때보다 바닥에 빨리 떨어져 사람들이 바이러스 입자를 흡입할 위험이 줄어든다. 

이미지 출처=프리픽 ⓒ케미컬뉴스CG
이미지 출처=프리픽 ⓒ케미컬뉴스CG

가습기를 이용해 공기 중 수증기량이 충분하면 코안 점막이 촉촉해져 바이러스의 침투를 막아낼 수 있다는게 세스코의 설명이다.

기관지가 건조하면 기침과 재채기가 잦아 물도 충분히 마시는 게 좋다.

하지만 실내 습도가 너무 높으면 세균이나 곰팡이가 벽이나 가구 등에서 증식할 수 있으므로 환기를 통해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실내 습도는 40~60%로 유지하는게 필요하다.

환기가 중요...조금 추워도 자주 환기 하기

실내 바이러스 입자가 많으면 감염 확률이 높아진다. 사람이 많은 공간일수록 환기를 자주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창문을 항상 열어 두는 것이라고 한다. 

미세먼지가 있어도 실내 환기는 꼭 필요하다. 

소독과 살균

지난 4월 영국 의학저널 NEJM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천이나 나무 위에서 1일, 유리 위에서 2일, 스테인리스나 플라스틱 위에서 4일, 마스크 겉면에서는 7일 동안 생존 가능하다. 

세스코에 따르면 세제와 물로 청소하는 것은 물체 표면에 있는 감염성 병원체 수가 줄어들지만 소독까지 하면 남아있는 감염성 병원체까지 사멸할 수 있다. 

오염된 실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세스코 ‘전문 살균 서비스’ /사진=세스코 제공

소독 주기는 공간의 사용 빈도나 특성에 따라 다른데 대형학원·음식점·유통물류센터 등은 1일 1회 이상 소독해야한다. 

손이 자주 닿는 전화기·문고리·리모컨·탁자·키보드·스위치 등 개인용품은 환경부 승인이나 신고된 제품을 활용해 살균하는게 좋다. 

마스크 사용과 손 씻기는 기본 원칙이다. 밥 먹기 전, 코를 닦은 후, 기침한 뒤에는 반드시 비누나 손 소독제로 닦고, 침은 바닥에 뱉지 않는다. 

세스코는 자사의 강제환기장치와 공기살균기, 전문 살균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방법들을 소개하기도 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3일 0시 기준 코로나19 국내 신규 확진자는 11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수는 2만3216명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99명 중에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73명으로 집중되어 나타났다.

위중 중증 환자는 139명이며, 사망자는 총 388명으로 치명률은 1.67%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09명이며 현재 2178명이 격리 중이다.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110명을 기록한 23일 오전 서울 강남보건소 선별진료소 /사진=뉴시스

케미컬뉴스 김수철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