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독감 우수한 검출능력 보여·코로나 바이러스에도 적용가능
ES&T 논문게재

국내 연구진이 독감 바이러스나 코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양을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해 화제다.
UNIST 기계공학과 장재성 교수팀은 전기적 힘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농축할 수 있는 장치와 농축된 바이러스의 양을 신속히 측정 가능한 '종이 센서 키트'로 구성된 바이러스 검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비말뿐 아니라 1미크론(㎛, 1㎛는 100만 분의 1m) 미만의 작은 바이러스 입자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고, 바이러스를 훼손시키지 않는 방식이라 측정 정확도가 높다. 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센서를 이용해 채집된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때문에 진단 속도도 빠르다.
공기 중에 바이러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바이러스가 포함된 채 떠다니는 입장를 잘 잡아내는 채집기와 센서가 필요하지만 공기 중 바이러스를 채집하는 기존 방식은 '진공 청소기'와 유사한 방식이라 채집 가능한 입자 크기에 한계가 있고 채집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손상된다고 한다.

또한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PCR)의 경우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는데 연구팀은 정전기력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채집하고 면역 반응을 통해 이를 빠르게 검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 방식은 10㎛이상의 크기부터 1㎛ 미만의 작은 입자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또 채집과정에서 입자가 용액에 부딪혔을 때 충격이 적다.
채집된 샘플은 가볍고 저렴한 '종이 면역 센서'를 이용해 검사하고 임신 진단 키트처럼 신속하게 바이러스를 검출하고 그 정확도는 유전자 증폭 검사(qPCR) 수준에 이른다.
장재성 교수는 “입자를 가속시킨 뒤 고체 배지나 액체에 충돌시켜 바이러스를 채집하는 ‘관성 충돌 방식’은 0.03~0.1㎛의 미세한 입자는 10%도 못 잡지만, 이번에 개발된 방식은 1㎛ 미만의 입자도 99%이상 잡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팀은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해 A형 독감 바이러스(A H1N1)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바이러스 채집 효율은 상용화된 시스템보다 높고, 바이러스 핵 단백질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센서의 정확도도 qPCR수준으로 정확했다. 센서의 최소측정 가능농도 도 낮아, 독감 유행기에 존재하는 공기 중 미량의 바이러스도 잡아낸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비록 신종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에 대해서만 이루어졌지만, 비슷한 크기와 구조, 똑같이 외피를 가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사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더 많은 공기를 뽑아들 일 수 있는 농축 장치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수행은 한국연구재단(NRF)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환경공학 분야의 세계적인 저널 ‘환경과학기술’ 8월 24일자로 논문명 'Rapid Airborne Influenza Virus Quantification using an Antibody-based Electrochemical Paper Sensor and Electrostatic Particle Concentrator'으로 온라인 게재됐다.
케미컬뉴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