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12-05 17:41 (화)
제보룸
제목 작성자 날짜 결과
전체 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 헌법 김학명 2023-12-01 15:50
사각지대 대한민국이 저희를 버리나 봅니다 김학명검토중 2023-11-29 13:30
기타 다문화 가정 울리는 정책 최유진검토중 2023-11-16 12:08
사건·사고비밀  비밀 울산 s정비공장 사장과 상간녀 의 만행 김은주검토중 2023-11-06 17:35
비리비밀  비밀 우리은행만 연대보증을 강요하여 억울한 피해를 야기하는 이유는? 신승익검토중 2023-10-31 11:58
기타비밀  비밀 일성건설 재도색 보상 제보드립니다 양소리기사보도 2023-10-13 10:18
환경/유해물질 지역 주택 조합의 횡포 우길순(가명)검토중 2023-10-06 11:57
비리비밀  비밀 고발합니다. red02처리불가 2023-10-05 08:53
미담비밀  비밀 이런거 제보해되나요? 이석현게시완료 2023-09-18 09:58
사건·사고비밀  비밀 제보 하나 올려봅니다. 김지성처리방법안내(메일) 2023-09-14 14:17
icon 제보하기
[초점] 공기 중 바이러스 측정 시스템 개발
상태바
[초점] 공기 중 바이러스 측정 시스템 개발
  • 박주현 기자
  • 승인 2020.08.31 12: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UNIST 장재성 교수팀, ‘전기식 바이러스 농축기+종이 면역 센서’시스템 개발
A형 독감 우수한 검출능력 보여·코로나 바이러스에도 적용가능
ES&T 논문게재
바이러스 농도 측정 모식도(개발된 시스템의 구조) /이미지=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독감 바이러스나 코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양을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해 화제다.

UNIST 기계공학과 장재성 교수팀은 전기적 힘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농축할 수 있는 장치와 농축된 바이러스의 양을 신속히 측정 가능한 '종이 센서 키트'로 구성된 바이러스 검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비말뿐 아니라 1미크론(㎛, 1㎛는 100만 분의 1m) 미만의 작은 바이러스 입자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고, 바이러스를 훼손시키지 않는 방식이라 측정 정확도가 높다. 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센서를 이용해 채집된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때문에 진단 속도도 빠르다. 

공기 중에 바이러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바이러스가 포함된 채 떠다니는 입장를 잘 잡아내는 채집기와 센서가 필요하지만 공기 중 바이러스를 채집하는 기존 방식은 '진공 청소기'와 유사한 방식이라 채집 가능한 입자 크기에 한계가 있고 채집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손상된다고 한다. 

 바이러스 채집 방법별 바이러스 농도 /UNIST 제공

또한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PCR)의 경우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는데 연구팀은 정전기력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채집하고 면역 반응을 통해 이를 빠르게 검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 방식은 10㎛이상의 크기부터 1㎛ 미만의 작은 입자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또 채집과정에서 입자가 용액에 부딪혔을 때 충격이 적다.

채집된 샘플은 가볍고 저렴한 '종이 면역 센서'를 이용해 검사하고 임신 진단 키트처럼 신속하게 바이러스를 검출하고 그 정확도는 유전자 증폭 검사(qPCR) 수준에 이른다. 

장재성 교수는 “입자를 가속시킨 뒤 고체 배지나 액체에 충돌시켜 바이러스를 채집하는 ‘관성 충돌 방식’은 0.03~0.1㎛의 미세한 입자는 10%도 못 잡지만, 이번에 개발된 방식은 1㎛ 미만의 입자도 99%이상 잡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러스 검출 방법별 성능 비교 /UNIST 제공

또한 연구팀은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해 A형 독감 바이러스(A H1N1)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바이러스 채집 효율은 상용화된 시스템보다 높고, 바이러스 핵 단백질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센서의 정확도도 qPCR수준으로 정확했다. 센서의 최소측정 가능농도 도 낮아, 독감 유행기에 존재하는 공기 중 미량의 바이러스도 잡아낸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비록 신종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에 대해서만 이루어졌지만, 비슷한 크기와 구조, 똑같이 외피를 가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사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더 많은 공기를 뽑아들 일 수 있는 농축 장치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연구진 사진, 왼쪽부터 장재성 교수, 제1인저자인 죠티 바하드와지(jyoti bhardwaj) 박사와 김명우 연구원 / UNIST 제공

이번 연구수행은 한국연구재단(NRF)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환경공학 분야의 세계적인 저널 ‘환경과학기술’ 8월 24일자로 논문명 'Rapid Airborne Influenza Virus Quantification using an Antibody-based Electrochemical Paper Sensor and Electrostatic Particle Concentrator'으로 온라인 게재됐다.

케미컬뉴스 박주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