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구서 평활근 세포가 암죽관의 지방흡수 돕는다는 사실
융모의 암죽관 기능 형태 조절하는 기질세포군 발견...분자생물학적 수준으로 규명

소장 기질세포 내 얍/태즈(YAP/TAZ) 과활성에 따른 암죽관의 형태 및 기능 변화소장 융모 내 기질세포에서 얍/태즈(YAP/TAZ)를 과도하게 활성화시킨 결과 암죽관(초록색)이 비정상적으로 발아·증식하여 형태가 변화하고(A) 지방(빨간색) 흡수 기능이 저하되었다(B) /기초과학연구원(IBS)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소장 내 세포가 지방 흡수 통로인 '암죽관'을 조절하는 원리를 규명했다. 

IBS에 따르면 신체에 필요한 지방, 지용성 비타민, 약물 등 여러 영양분은 소장의 융모(융털) 속 암죽관을 통해 흡수되는데, 암죽관은 지용성 영양분을 받아들이는 유일한 통로이며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암죽관의 형태와 기능이 유지되는 정확한 원리를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지난 14일 IBS 혈관 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은 지용성 영양분 흡수를 당당하는 림프관인 암죽관 조절에 소장을 구성하는 기질세포가 핵심요소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림프관은 주로 피부나 점막 하층에 분포하며 액체와 물질을 혈관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쪽 방향이 막힌 투명한 관 형태로, 투과성이 높아 항원과 세포를 포함한 거대분자를 쉽게 흡수한다. 

기질세포(Stromal cell)란 조직의 골격구조를 이루며 공간을 채우는 여러 세포를 말한다.

연구진 사진-왼쪽부터 고규영 단장, 홍선표 선임연구원, KAIST 박사과정 양명진 /IBS

이번 암죽관 기능 조절 원리 규명은 비만과 당뇨병 등 대사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진은 지난 연구에서 융모를 이루는 기질세포 중 하나인 평활근 세포가 암죽관 주위를 둘러싸고 주기적으로 수축해 암죽관의 지방흡수를 돕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암죽관의 기능 뿐 아니라 형태를 조절하는 새로운 기질세포군을 발견하고 그 원리를 분자생물학적 수준으로 규명했다고 한다. 

연구진은 암죽관에 주변 기질세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암죽관 부근을 관찰한 결과, 다양한 기질세포들이 물리적 자극에 반응하는 히포 신호전달경로 물질인 '얍/태즈(YAP/TAZ)' 단백질을 발현함을 확인했다.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법을 이용한 소장 내 기질세포들의 다양성 확인 및 베지에프-C(VEGF-C)를 분비하는 특정 기질세포 규명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법을 이용한 소장 내 기질세포들의 다양성 확인 및 베지에프-C(VEGF-C)를 분비하는 특정 기질세포 규명 /IBS

얍/태즈를 과활성시킨 결과 림프관생성물질인 베지에프-C(VEGF-C) 분비 증가로 암죽관이 비정상적으로 발아·증식해 지방 흡수 기능이 저하된 반면 얍/태즈 발현을 억제하면 베지에프-C가 감소해 암죽관이 짧아지고 지방 흡수 기능이 저하됐다. 

이것은 소장 내 기질세포가 암죽관의 형태와 기능 조절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의미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한 연구진은 세포 1개의 유전체를 분석할 수 있는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법을 이용해 베지에프-C 분비를 조절하는 새로운 기질세포군을 발견했다. 

이들 세포에 소장의 수축·이완운동과 유사한 물리적 자극을 주면 얍/태즈가 활성화되어 베지에프-C분비가 증가했다. 이것은 소장의 주기적 운동이 기질세포의 얍/태즈 활성을 조절하고 베지에프-C 발현을 제어하여 암죽관의 정상적인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다. 

소장의 수축·이완 운동 변화에 따른 VEGF-C 생성 조절
소장의 수축·이완 운동 변화에 따른 VEGF-C 생성 조절 /IBS

IBS 홍선표 선임연구원은 "암죽관 주변 기질세포가 암죽관의 기능과 형태를 조절함을 밝혔다"며 "지용성 영양분 흡수 원리를 이해하여 지방 흡수 및 분해와 관련된 비만, 당뇨병 등 대사질환 치료에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8월 14일 게재되었다. 

포인트경제 김수철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