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시 비상사태 선포, 최대 비상 체제 이행
김정은, 노동당 중앙위 비상 확대 회의 개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엄중한 처벌을 받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라고 국경지역 군부대에 지시했다고 보도한 사진/로이터, 가디언지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번 달 국경을 넘은 탈북자가 코로나19 감염 의심 증세를 보이며 한국에서 귀환해 긴급 정치국 회의를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이것이 확인되면 지금까지 북한 당국이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로 인정하는 첫 번째 사례가 된다.

26일 로이터, 가디언지 등이 조선중앙통신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악성 바이러스가 국내에 들어왔다고 할 수 있는 중대한 상황"이라며 국경도시 개성을 폐쇄 조치했다.

3년 전 한국으로 탈북했던 사람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세를 보이며 지난 19일 국경을 넘어 돌아왔다는 것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오전 "세계적인 대재앙으로 인류를 위협하고 있는 전염병의 유입을 철저히 차단하기 위한 방역전이 강도높이 전개되고 있는 시기에 개성시에서 악성 비루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월남 도주자가 3년 만에 불법적으로 분계선을 넘어 지난 7월19일 귀향하는 비상사건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25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상확대회의 소집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조선중앙통신 캡처
25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상확대회의 소집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조선중앙통신 캡처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개인의 검사 여부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해당 호흡기 밀 혈액의 분비물을 여러 번 검진하여 불명확한 결과를 얻었으며, 격리와 조사를 촉구했다.

북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이와 관련해 지난 25일 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비상확대회의를 열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6개월간 전국적으로 각 방면에서의 강력한 방어적 방역대책들을 강구하고 모든 통로들을 격폐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경내에 악성 비루스가 유입됐다고 볼 수 있는 위험한 사태가 발생했다"며 24일 오후 개성시를 완전 봉쇄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국가 비상 방역 체계를 최대 비상 체제로 이행하며 특급경보를 발령했다.

김 위원장은 "모두가 비상사태에 직면한 현실을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며 "사고와 행동의 중심을 잃지 말고 책임성과 헌신성을 안고 당 중앙의 영도에 충실하고 철저하며 당 중앙의 두리(둘레)에 더욱 굳게 단결해 방역위기를 타개함으로써 반드시 우리 인민의 안녕과 조국의 안전을 사수하자"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의심자 탈북이 발생했던 군 부대에 대한 처벌이 논의됐다. 통신은 "월남 도주 사건이 발생한 해당 지역 전연부대의 허술한 전선 경계 근무 실태를 엄중히 지적하고 당 중앙군사위원회가 사건 발생에 책임이 있는 부대에 대한 집중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엄중한 처벌을 적용하며 해당한 대책을 강구할 데 대해 토의했다"고 밝혔다. 

가디언지에 따르면 북한은 러시아와 다른 국가로부터 수천 개의 코로나19 테스트 키트를 받아 엄격한 국경 폐쇄를 시행했으며 격리됐던 수천 명의 사람들이 최근 제한이 완화되었다. 

최근 몇 주 동안 북한은 탈북자들을 '인간 쓰레기'로 비난하고 북한에 선전 메시지와 식량 원조를 보내는 단체들을 단속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9월 바른미래당 박주선 의원이 통일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탈북민 12명이 2015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제3국을 경유하는 등 방법으로 재입북 시도를 하다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처벌받았다. 

2017년 9월 당시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주민등록상 '거주지 불명'에 해당하는 탈북민은 2017년 7월 기준으로 886명이었다.

또 경찰청이 2015년 4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탈북민 거주 불명(당시 791명 조사) 사유 중 가장 많은 것은 해외 출국(664명)이었다. 이어 다른 주소지 거주(62명), 연락 기피 등 소재 불명(24명), 교도소 수감(22명) 등 순이었다.

2013년 이후 재입북한 뒤 다시 국내로 들어온 탈북민은 2017년까지 5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뒤늦게 밝힌 재입북 사유는 '국내 사회 부적응'이 4명, '재북가족 동경'이 1명이었다.

포인트경제 심성필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