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12-01 21:23 (금)
제보룸
제목 작성자 날짜 결과
전체 대한민국 헌법NEW 대한민국 헌법 김학명 2023-12-01 15:50
사각지대 대한민국이 저희를 버리나 봅니다 김학명검토중 2023-11-29 13:30
기타 다문화 가정 울리는 정책 최유진검토중 2023-11-16 12:08
사건·사고비밀  비밀 울산 s정비공장 사장과 상간녀 의 만행 김은주검토중 2023-11-06 17:35
비리비밀  비밀 우리은행만 연대보증을 강요하여 억울한 피해를 야기하는 이유는? 신승익검토중 2023-10-31 11:58
기타비밀  비밀 일성건설 재도색 보상 제보드립니다 양소리기사보도 2023-10-13 10:18
환경/유해물질 지역 주택 조합의 횡포 우길순(가명)검토중 2023-10-06 11:57
비리비밀  비밀 고발합니다. red02처리불가 2023-10-05 08:53
미담비밀  비밀 이런거 제보해되나요? 이석현게시완료 2023-09-18 09:58
사건·사고비밀  비밀 제보 하나 올려봅니다. 김지성처리방법안내(메일) 2023-09-14 14:17
icon 제보하기
미국서 4명 사망케 한 팽이버섯, '리스테리아균' 검출...'가열조리용' 표시키로
상태바
미국서 4명 사망케 한 팽이버섯, '리스테리아균' 검출...'가열조리용' 표시키로
  • 김지연 기자
  • 승인 2020.03.19 0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으로 팽이버섯 수출하는 4개 업체 조사
2개 업체의 팽이버섯에서 리스테리아균 검출
한국과 달리 가열조리 안하고 생으로 섭취하는 미국 식문화
미국서 4명 사망케 한 팽이버섯의 '리스테리아균' 검출, 생산업체 위생관리 강화 ⓒ케미컬뉴스

지난 11일 한국에서 수입된 팽이버섯을 먹고 미국에서 4명이 사망하고 32명이 중독증세를 보였다는 보도된 이후, 국내에서 미국으로 팽이버섯을 수출하는 4개 업체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2개 업체의 팽이버섯에서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되어 우리 정부는 생산 유통 과정의 위생관리를 한층 강화하고 '가열 조리용' 표시를 하기로 했다. 

지난 2016년 부터 2019년 까지 미국에서 발생한 리스테리아 식중독과 관련하여, 한국은 팽이버섯을 가열·조리해서 섭취하는데 미국은 샐러드에 생으로 함께 섭취하는 식문화로 서로 달라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실험결과에 따르면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된 팽이버섯을 70℃ 3분, 5분, 10분, 100℃ 15초, 1분 가열한 결과 리스테리아균이 사멸되었다. 

리스테리아[이미지 출처=사이언스저널]
리스테리아[이미지 출처=사이언스저널]

리스테리아는 식중독균으로 저온 및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고 특히 냉장·냉동실에서도 증식이 가능하다. 면역기능이 정상인 건강한 성인은 감염 가능성이 낮지만 임산부·신생아·노인 등 면역력이 취약한 계층은 감염 위험이 높으며, ‘리스테리아증(Listeriosis)’ 발병 시 치사율은 약 20~30%이다. 

리스테리아균은 토양, 물 등 자연 환경에 분포하는데 선진국에서도 일반농산물은 생산든계에서 위생관리를 통해 리스테리아균을 저감시키고 소비단계에서 가열 조리 등을 통해 섭취하도록 하는 식중독 예방 관리를 하고 있다.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식품의약품안전처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팽이버섯을 가열 조리하여 섭취하면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포장에 소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가열조리용'인 점을 표시하도록 개선하고 제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표시조치는 대규모 생산 8개 업체의 23일 출하물량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또한 팽이버섯을 포함한 버섯 생산업체에 대해서는 정기적 위생점검과 매뉴얼 배포 및 위생관리 교육을 강화해나간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리스테리아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조리하지 않은 채소는 섭취 전 깨끗이 세척하고, 조리식품과 비조리 식품을 분리 보관 취급해야 하며, 냉장온도 0~10℃에서 성장이 가능하므로 냉장고 음식 보관 시 침출액이 넘치지 않게 전용 밀폐 용기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좋다. 

한편, 식약처는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팽이버섯을 섭취하고 발생한 리스테리아균 식중독 사고는 보고된 바 없다고 밝혔다.

케미컬뉴스 김지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