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송미정 교수팀 2년에 걸친 용역 결과 발표
1위 비산먼지, 2위 생물성연소, 3위 도로이동오염원 순
시군별 맞춤형 관리와 노후경유차 폐차 등 저감사업 발굴

전국적으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는 5일 전북 전주시 완산구 충경로 일대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로 뿌옇다.[사진=뉴시스]
전국적으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는 5일 전북 전주시 완산구 충경로 일대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로 뿌옇다.[사진=뉴시스]

전북지역이 오염농도 전국 최고수준을 보이며 도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세먼지 원인 1위는 ‘비산먼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요인 가운데는 중국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국가적 차원의 대책과 시군별 맞춤형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5일 전북도는 ‘미세먼지 특성분석 용역결과 및 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전북대학교 송미정 교수님이 지난 2017년 4월부터 2년여간 진행한 용역으로 ▲계절병 미세먼지의 이온, 탄소 성분 등 화학적 성분분석, 배출량 ▲대기모델링을 통한 국내외 기여도 산출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대책 수립 등을 집중 분석했다.

연구결과 초미세먼지로 불리는 PM2.5 배출량의 전북지역 원인은 비산먼지가 가장 높게 측정됐으며 이어 생물성연소와 도로이동오염원 순으로 나타났다.

비산먼지는 산업체와 공사장에서의 소각과 도로먼지 등이며 생물성연소는 농업잔재물, 생활잔재물의 연소에서 나오는 먼지가 원인이다.

연구에서는 또 타 지역에 비해 유기탄소·원소탄소(OC/EC) 비율과 PM2.5/10의 비율이 현저히 높게 측정돼, 대기 중에 2차적으로 생성되는 미세먼지가 상당한 것으로 추정됐다.

또 PM2.5는 질산염(NO3-), 암모늄(NH4+), 칼륨(K+)의 상관도가 매우 높게 분석돼 생물성연소의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 미세먼지 발생의 영향은 평균 58%정도(국내 42%)이며 특히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중국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북도는 맞춤형 저감대책을 내놓았다.

먼저 비산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해 건설공사장에 살수차를 확대 운영하고, 공사시간 변경 및 단축 등을 통해 줄여 나가고, 생물성 연소에 따른 불법 소각을 근절하기 위해 농림축산부에서는 농업 잔재물 수거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고, 퇴비 활용이 안 되는 부산물 등은 일제 소각의 날을 지정 운영키로 했다.

대기 정체로 인한 2차 질산염(NO3-)과 황산염(SO42-)유발 요인인 이동오염원 관리를 위해 2023년까지 조기폐차를 매년 1만대씩 6만6000대 이상 대폭 확대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암모니아(NH3) 등은 시·군과 함께 저감사업을 적극 발굴해 지원키로 했다. 

기타 2차 오염유발물질인 암모니아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축사 및 가축분뇨 관리를 위해 퇴비화시설 밀폐 및 저감시설 지원과 탈취탑 등 악취저감시설 지원에 악취 심각지역 18개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양돈분뇨 배출에 소요되는 기간을 60일에서 14일로 단축하도록 할 계획이다.

전북도 김용만 환경녹지국장은 “2년간에 걸친 용역 결과를 볼 때 예보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됐다”면서 “국가적 차원의 예보시스템 확보와 중국과의 공동연구는 물론 도내 시·군과 협업해 미세먼지 저감  실효성을 높여 안전하고 깨끗한 대기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저감대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포인트경제 김지연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