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주변 하천에서 시료를 채취해 정밀 분석 중
세슘 유출 확인일로부터 2주 뒤 보고조치 유감 입장문 낸 대전시
시민단체, 연구중단 및 원자력연구원 폐쇄 촉구

지난 20일 대전시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 일부지점의 하천토양에서 방사성 물질인 세슘 등이 검출돼 조사 중에 있고 시민단체들은 시설 폐쇄를 촉구했다.

대전시는 23일 첫 번째 시료 채취에 이어 28일 보건 환경연구원 주관으로 원자력연구원 주변 하천에서 시료를 채취해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3개 지점에 하천토양 유출방지 시설을 설치 조치하고, 매일 연구원 주변 세슘농도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대전보건환경연구원이 28일 오후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 하천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대전보건환경연구원이 28일 오후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 하천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연구원은 지난해 12월 30일 연구원 정문 앞 등지의 주변 하천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세슘 137핵종 등이 검출된 바 있다. 

대전시는 23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발사성 물질 유출사건에 대한 늑장 조치에 입장문을 내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세슘 유출 확인일로부터 2주 뒤인 20일 오후 5시에 구두보고를 한 조치는 기망행위에 해당되며 대단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시와 연구원이 맺은 안전협약을 미이행한 것이며 연구원장은 대시민 사과와 재방방지 대책을 발표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또한 사건 조사팀의 결과를 검토한 후 투명하게 지역주민에게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밀봉 된 세슘 -137 방사성 소스
밀봉된 세슘 -137 방사성 소스

세슘 137은 수용성 유독물질이며 몸에 들어온 세슘은 근육 등에 모여 유해한 감마선을 낸다.  세슘-137은 의료용 방사선으로 사용되나, 인체 내의 칼륨을 대체하는 성질이 있어 위험성이 높다. 후쿠시마에서 건강에 가장 위협적인 물질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자연 상태에서 미량의 세슘 134와 세슘 137이 존재하는데 극미량은 자연계에서 해가 되지 않으나 상당수는 1940년대부터 1960대 사이의 핵실험 및 핵사고로 부터 방출된 것이다.

가장 많이 방출된 사건이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브라질의 고이아니아 사고가 있으며, 가장 최근은 2011년도에 후쿠시마 제1원전 핵발전소 사고로 다량이 유출되었다. 

세슘은 인체에 흡수되면 배출이 잘 되지않고 주로 근육에 농축된다. 많이 침투될 경우는 불임증, 전신마비, 골수암, 폐암, 갑상선암, 유방암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핵재처리실험저지30㎞연대가 23일 원자력연구원 앞에서 방사성 물질 누출을 규탄하며 연구중단 및 원자력연구원 폐쇄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핵재처리실험저지30㎞연대가 23일 원자력연구원 앞에서 방사성 물질 누출을 규탄하며 연구중단 및 원자력연구원 폐쇄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편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는 반복되는 원자력연구원의 사고에 시험 전면 중단과 원자력 연구단지 조성 중단 등 근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얼마나 많은 양의 방사성 물질이 토양과 하천으로 흘러 들어갔는지 알 수가 없다며 더이상 원자력연구원을 신뢰할 수 없고 정부는 이 곳의 모든 연구를 중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번에 누출된 방사성 물질은 이미 핵분열이 진행된 고준위핵폐기물로 사용후핵연료에서나 나올 수 있는 핵종이며, 연구시설이 아닌 자연증발시설, 우수관, 토양, 하천 등에서 세슘이 검출된 것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세슘이 흘러들어간 과평천에 12.4Bq/kg의 농도로 검출됐고 이것은 금강으로 합류돼 세종, 공주, 부여지역으로 흘러들어가는데 생태계까지 위협한 이번 사태를 결코 묵과할 수 없다"고도 했다. 

환경연합은 공동성명을 내고 이번 우수관 유출의 원인지로 주목되는 자연증발시설은 즉각 폐쇄하고 연구원은 해체 수순을 밝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인트경제 김수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