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마이크로비즈 금지법안
25일 환경부, 생활화학제품의 마이크로비즈 함유금지물질 지정 행정예고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등이 포함된 제품 사용안하기

25일 환경부가 생활화학제품에 함유금지지정을 행정예고한 '마이크로비즈'는 무엇이며, 제품 구입시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
개인 위생 용품에 사용되는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은 매일 수십억개씩 배수구를 따라 호수, 강, 바다로 들어가게 된다. 그들은 물 속의 독소를 흡수하고 해양 생물에게 먹히게 되며 먹이사슬을 통해 우리의 밥상까지 올라올 수 있다.
마이크로비드(Microbeads)는 5mm 미만이며 물에 분해되거나 용해되지 않는 작고 단단한 제조된 플라스틱 입자다. 이들은 린스 오프 화장품, 개인 관리 및 청소 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에 추가 될 수 있다. 마이크로 비드는 이들 제품에서 다양한 목적의 성분으로 사용된다. 여기에는 활성 성분의 시간 경과 방출을 제어하고 저장 수명을 연장하기위한 연마제 또는 각질 제거제, 증량제가 포함된다. 그들은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성분이다.
[출처=호주 환경에너지국]
플라스틱 마이크로비즈가 포함된 제품과 해외 규제
환경과 사회문제 커뮤니티 '스터프 프로젝트'에 따르면 마이크로비즈는 세안 비누, 바디워시 및 치약에도 사용된다. 때때로 립글로스와 매니큐어뿐만 아니라 주름을 채워준다는 화장품에 포함된다. 대부분의 폐수 처리는 마이크로비즈를 걸러내지 않으며 수로로 배출되며 결과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전세계의 바다에서 발견된다.

2015년 미국전체에서 마이크로비드를 금지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2017년 마이크로비드가 함유된 개인관리 제품이 판매하는 것이 불법이 되었다.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캐나다와 뉴질랜드의 마이크로비드 금지령은 2018년 발효됐고, 유럽 연합의 여러 국가에서 유사한 금지 조치를 취했으며, 영국정부는 2016년 마이크로비드로 화장품 제조를 금지하겠다고 밝히고, 작년 효력을 발휘해 판매금지까지 이어졌다.
국내에서도 환경부가 생활화학제품에서 미세플라스틱 종류인 '마이크로비즈'를 함유 금지물질로 지정하는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21년 1월 1일 이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제품부터 적용된다.
국제적으로 마이크로비즈를 금지하는 추세지만 일부 제품에서 마이크로비드가 발견될 수 있다. 치약, 세안제, 바디워시, 파운데이션 등 화장품 및 기타 케어 제품이 여기에 포함된다.
영국의 그린피스 운동가인 타샤브라운은 "마이크로비즈는 오래 지속될 것이다. 우리 바다에는 수세기 동안 남아있을 것이며, 린스 오프 화장품 이외의 제품에서는 여전히 허용되고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미세 플라스틱은 섬유유연제에 사용되는 향기캡슐인데 이번 규제에 빠진 이유에 대하여 환경부는 "향기캡슐의 대체제가 없어 업계의 준비기간이 필요하며, 향기캡슐 규제에 대해 관계자들 간 논란이 있으므로, 향후 향기캡슐 사용 유무에 대한 환경영향 검토 등을 토대로 관리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이미지 출처=다우니]](/news/photo/201911/1248_2578_3428.png)
향기캡슐이 들어간 섬유유연제 다우니 홈페이지에는 관련 내용의 입장표명글이 게시되어있다. 한국P&G는 "유럽, 미국을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그 어떤 미세플라스틱 관련 현행 법규에서도 향기캡슐은 미세플라스틱으로 분류되지 않는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화장품, 세면 및 향수 협회의 이사인 크리스 플라워에 따르면 미국은 대부분의 업계에서 이미 헹굼 제품의 미세 플라스틱을 단계적으로 폐지했다고 밝혔다.
호주연방 환경에너지국에 따르면 제품의 마이크로비드가 염려된다면 다음 성분을 찾으라고 한다.
![일반적인 마이크로비드 성분 [출처=호주연방 환경에너지국]](/news/photo/201911/1248_2575_5815.png)
- 폴리에틸렌(PE)
- 폴리에틸렌 테레 프탈레이트(PET)
- 나일론(PA)
- 폴리 프로필렌(PP)
- 폴리 메틸 메타 크릴 레이트(PMMA)
그럼 플라스틱이 눈에 띄게 보이고 만져지는 스크럽제품 등 각질제거제는 버려야 할까?
파필러사이언스에 따르면 선호하는 각질 제거제 브랜드의 성분을 확인하고 목록에 마이크로비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가지 유형의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 프로필렌이 포함된 경우 해당 스크럽을 사용하지말라고 한다.
한편, 25일 환경부는 향후 생활화학제품 내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관리에 대한 계획으로 먼저 생활화학제품 용도별 관리 로드맵과 '라벨링 및 사용현황 보고' 대상 기준 방법 등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케미컬뉴스 유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