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 시작
산후조리원,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 강화 당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이미지 출처=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본부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이 증가하는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호흡기 감염병 예방·관리를 강화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증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이미지 출처=서울아산병원]
RSV는 우리말로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라고 불리는 바이러스이다. RSV는 만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이 잘 되며, 한 번 감염되면 평생동안 지속적으로 재감염된다. 성인에서는 경한 감기로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면역저하자 또는 노인 연령층에서는 중증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바이러스는 5세 미만 감염 시 입원률이 높으며, 생후 3개월 째가 감염후 입원률이 가장 높은 연령이다. RSV는 주로 모세기관지염과 폐렴으로 진행된다. 어린 아기가 RSV에 감염될 경우 사망 위험률이 증가하고, 미숙아와, 만성폐질환, 선천성 심장질환을 보유한 고위험군 아기가 RSV에 감염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계절별로는 매년 가을부터 초봄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드물게는 연중 어느 때나 발병한다. 놀이방, 사람들이 많은 환경에 노출될 경우 감염율은 더 높다.
[출처=서울아산병원]
원인과 증상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RSV는 일상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바이러스로 부엌조리대나 장난감, 수건, 담요나 이불, 사용한 휴지 등과 같은 물건들에서 몇 시간 살아 있다. RSV가 살아 있는 물건에 접촉할 경우 RS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 또한 가족 구성원의 숫자가 많거나 어린이집 등과 같은 집단 활동이나 생활을 하는 아기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감염 확률이 높다.
잠복기는 2~8일으로 RS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재채기, 코막힘이나 콧물, 인후통과 발열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하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쌕쌕거리거나 기침을 심하게 하고, 숨쉬기 어려워하거나 빠르게 호흡하며, 피부색이 청색 및 회색을 띠게 되며, 먹거나 마시고 잠자기 힘들어 하는 등의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될 수 있다.
신고건수 증가
전국 200개 의료기관 입원환자에 대한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RSV 감염증 입원환자 신고건수는 2019년 41주(10.6~12) 125건에서 44주(10.27~11.2) 278건으로 최근 4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겨울철에 환자발생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